재고자산의 개념과 원가 결정
재고자산의 정의
재고자산은 통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 중인 자산, 통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생산 중인 자산 그리고 생산이나 용역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을 말합니다.
재고자산 중 판매를 위하여 보유 중인 자산으로는 상품(merchandise)과 제품(finished
goods)이 있는데, 상품은 상품매매기업(merchandising company)이 재판매를 위하여 기업 외부로부터 구입한 재고자산을 말하고, 제품은 제조기업(manufacturing company)이 직접 개조한 재고자산을 말한다. 한편 판매를 위하여 생산 중인 자산으로는 재공품(work in process)이 있으며, 생산에 투입할 목적으로 구입한 원재료(raw material)와 소모품(supplies)도 재고
자산에 포함된다. 소모품과 관련하여 유의할 점은 모든 소모품을 재고자산에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에 투입 예정인 것에 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사무용 소모품 등은 유형자산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한다.
매입원가 : 매입가격에 수입관세와 제세금(과세당국으로부터 추후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은 제외), 매입운임, 하역료 그리고 완제품, 원재료 및 용역의 취득과정에 직접 관련된 기타 원가를 가산하고, 매입할인, 리베이트 및 기타 유사한 항목은 매입원가를 결정할 매 차감하여 결정한다
전환원가 : 직접노무원가 등 생산량과 직접 관련된 원가 및 원재료를 완제품으로 전환하는데 발생하는 고정 및 변동제조 간접원가의 체계적인 배부액이 포함된다
기타 원가 :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원가를 말한다.
상품매매 시 발생하는 비용
상품의 매매과정에서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에게 발생하는 비용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
구매자에게 발생한 비용 > 재고자산의 매입원가에 가산하며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의 일부로 봅니다.
판매자에게 발생한 비용 > 판매비로서 당기 비용 처리한다
재고자산 인식과 제거의 특수유형
재무상태표에 재고자산으로 보고할 금액은 기본적으로 보고할 땔 점에 기업의 재고자산 창
고에 보관 중인 자산으로서 정확한 실사를 통하여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재고자산도 해당 기업의 재고자산으로 보고하여야 하는 경
우도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재고자산의 입고 시점과 재고자산의 인식 시점(매입시점)이 정
환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재고자산의 출고 시점과 재고자산의 제거 시점(판매시점)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
는 다음과 같습니다.
운송 중인 상품
미착상품이라고도 합니다
위탁판매 상품
적송품이라고 합니다. 적송품에 대해서는 수탁자가 외부고객에 판매하기 전까지는 위탁자의 재고자산으로 처리합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수탁자가 위탁자에게 외부 판매 상황을 통하기 전까지는 위탁한 상품의 외부 판매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위탁자는 수탁자로부터 매출계산서를 수령한 시점에 일괄하여 적송품의 매출에 대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합니다.
상품의 위탁 시 고객에게 발송한 상품을 시송품이라고 하며 시송품에 대해서는 고객이 매입의사표시를 하기 전까지 판매자의 재고자산으로 처리합니다.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종류
판매 가능 상품을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으로 구분하는 절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관매가능상품의 원가 배분이라고도 한다. 흔히 사용되는 단위원가 결정방법으로는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그리고 가중평균법이 있다. 다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 보고 목적으로 후입선출법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각각의 단위원가 결정방법은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개별법 > 개별단위의 원가를 정확히 추적
선입선출법 > 먼저 매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후입선출법 > 나중에 매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가중평균법 > 모든 매입상품이 균일하게 판매된다고 가정
개별법
장점
원가 흐름과 물량 흐름이 일치
완벽한 수익 비용 대응
단점
복잡한 상품거래에 적용 불가
이익 조작 가능성 존재
선입선출법
장점
원가 흐름과 물량 흐름이 유사
기말재고자산이 현행가치 반영
단점
매출원가가 과거 원가 반영
수익 비용 대응의 부적절
후입선출법
장점
매출원가가 현행가치를 반영
수익 비용 대응 적절
단점
원가 흐름이 물량 흐름과 괴리
기말재고자산이 과거 원가 반영
이익 조작 가능성 존재
기말재고, 당기순이익, 법인세: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매출원가: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를 알아가자 4 [유형자산] (0) | 2022.11.27 |
---|---|
회계를 알아가자 3 [재고자산감모손실] (0) | 2022.11.27 |
회계를 알아가자 2 [상품매매거래의 회계처리] (0) | 2022.11.26 |
회계를 알아가자 2 [수정분개와 재무제표 작성] (0) | 2022.11.26 |
회계를 알아가자 2 [회계순환과정] (0)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