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행태(cost behavior)란 조업도 수준의 변화에 따라 원가가 변화하는 모양을 말한다. 즉, 조업도 수준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원가의 발생액이 일정한 모양으로 발생할 때 그 변화하는 모양을 원가행태라 한다.
조업도(Volume)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설비의 이용 정도 즉,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생산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정도를 말하며 이러한 조업도는 제품의 생산량, 기계 작업시간, 직접노동 시간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원가행태에 따라 원가를 분류하면 크게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
(I) 변동원가
변동원가는 원가행태에 따라 순수변동원가와 준변동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
1) 순수변동원가
순수변동원가(variable cost)란 원가의 행태가 조업도의 변화에 따라 총원가가 일
정하게 비례하여 변화하는 원가를 말한다. 순수변동원가는 조업도가 “0”(zero)인 경우 또는 조업이 중단된 경우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순수변동원가로는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등이 있다.
순수변동원가의 사례는 자동차 회사의 경우 타이어의 원가가 1개당 50,000이고 자동차 1대를 생산하는데 타이어 4개가 소비된다고 가정하면 자동차 1대를 생산하는 경우 타이어의 총원가는 200,000(1대 X4개 X50,000)이 발생한다. 자동차 2대를 생산하면 타이어의 총원가는 W400,000^(2대X4개X50,000)이 발생하고, 자동차 5대를 생산하면 타이어의 총원가는 1,000,000(5대 X4개 X50,000)이 발생한다. 그러나 자동차를 생산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이어의 소비가 필요 없게 되므로 타이어의 원가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타이어의 원가는 자동차를 1단위 생산할 때마다 200,000씩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조업도(자동차 생산량)의
변화에 따라 총원가(타이어의 총원가)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원가행태를 순수변동원가라 한다.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원가행태(cost behavior)란 조업도 수준의 변화에 따라 원가가 변화하는 모양을 말한다. 즉, 조업도 수준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원가의 발생액이 일정한 모양으로 발생할 때 그 변화하는 모양을 원가행태라 한다.
조업도(Volume)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설비의 이용 정도 즉,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생산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정도를 말하며 이러한 조업도는 제품의 생산량, 기계 작업시간, 직접노동 시간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원가행태에 따라 원가를 분류하면 크게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
(I) 변동원가
변동원가는 원가행태에 따라 순수변동원가와 준변동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
1) 순수변동원가
순수변동원가(variable cost)란 원가의 행태가 조업도의 변화에 따라 총원가가 일
정하게 비례하여 변화하는 원가를 말한다. 순수변동원가는 조업도가 “0”(zero)인 경우 또는 조업이 중단된 경우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순수변동원가로는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등이 있다.
순수변동원가의 사례는 자동차 회사의 경우 타이어의 원가가 1개당 50,000이고 자동차 1대를 생산하는데 타이어 4개가 소비된다고 가정하면 자동차 1대를 생산하는 경우 타이어의 총원가는 200,000(1대 X4개 X50,000)이 발생한다. 자동차 2대를 생산하면 타이어의 총원가는 W400,000^(2대X4개XW50,000)이 발생하고, 자동차 5대를 생산하면 타이어의 총원가는 1,000,000(5대 X4개 X50,000)이 발생한다. 그러나 자동차를 생산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이어의 소비가 필요 없게 되므로 타이어의 원가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타이어의 원가는 자동차를 1단위 생산할 때마다 200,000씩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조업도(자동차 생산량)의
변화에 따라 총원가(타이어의 총원가)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원가행태를 순수변동원가라 한다.
준변동원가(semi-variable cost)는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하게 발생하는 고정원가와 조업도의 변화에 따라 총원가가 일정하게 비례하여 변화하는 변동원가로 구성된 원가를 말한다. 준변동원가는 변동원가 요소와 고정원가의 요소가 혼합된 형태의 원가로 혼합 원가라고도 한다. 즉, 준변동원가는 조업도가 “0”(zero)인 경우에도 고 정원가 만큼의 원가가 발생하며, 조업도의 증가에 따라 변동원가와 같이 총원가가 일정하게 비례하여 증가한다. 준변동원가의 예로는 전력료, 가스료, 수도료, 수선유지비 등이 있다.
준변동원가의 예로는 전력으로의 경우 기본요금이 50,000이고, 1kw 사용 시 5,000을 부과한다고 가정할 경우,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50,000의 기본요금이 발생하고 이후 1 kw 사용 시마다 총원가는 5,000씩 일정하게 비례하여 증가한다
고정원가
고정원가는 원가의 형태에 따라 순수고정원가와 준고정원가로 분류할 수 있다.
순수고정원가
순수고정원가(fixed cost)란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총원가가 항상 일정한 원가를 말한다. 순수고정원가는 조업도가 “0”(zero)인 경우 또는 조업이 중단된 경우에도 일정하게 발생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순수고정원가의 예로는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 보험료, 지급 임차료, 사무원의 급료 등이 있다.
순수고정원가의 사례로 자동차제조업을 영위함에 있어 사업장을 월 1,000,000에 임차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 지급임차료는 조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도 월 W1,000,000의 지급 임차료가 발생하게 되며, 생산량이 1대,2대... 증가하는 경우에도 총원가가 항상 일정하게 발생한다. 이처럼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총원가가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를 순수고정원가라 한다. 여기서 총원가가 항상 일정하다고 하는 것은 관련 범위 내에서 일정하다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한다. 생산량 즉, 조업도 수준이 최대조업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생산설비의 증설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총 고정원가도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관련 범위란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최저조업도와 최고조업도 사이의 범위를 말한다.
준고정원가
준고정원가란 조업도가 일정 기준이상 증가할 때마다 총원가가 일정 금액 만큼씩 증가하는 원가를 말한다. 준고정원가의 예로는 감독자 급료 등이 있다.
준고정원가의 사례를 보면 과같이 자동차 제조회사의 경우 생산감독자를 고용하여 자동차를 제조하고 있는데 감독자 한 사람이 감독할 수 있는 한계는 자동차 100대이고 감독자 한 사람의 급여는 1,000,000 이라고 가정하면, 기업이 자동차를 1대 ~100대의 범위에서 생산한다면 한 사람의 감독자가 필요하게 되며 1,000,000의 감 독자 급료가 발생한다.
그러나 101대~200대의 범위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면 한 사람의 감독자로는 감독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추가로 한 사람을 더 고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자동차를 101대-200대의 범위에서 생산하게 되면 감독자 급료는 2,000,000이 발생한다. 이와 같 이 특정 범위 내의 조업도에서는 고정원가가 일정하게 발생하지만 조업도가 특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일정액만큼 고정원가가 증감하는 원가를 준고정원가라 한다.
준고정원가의 원가행태로 나타나므로 이를 계단 원가라고도 한다.
제조 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원가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비하였는지 아니면 제품의 제조와 관계없이 소비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로 분류한다.
제조원가
원가가 제품의 제조 활동과 관련하여 소비된 경제적 자원의 희생을 제조원가라 하며 제조원가는 직접재료원가,직접노무원가 및 제조 간접원가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및 제조 간접원가를 제조원가의 3요소라 하며 이를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원가
직접재료원가(direct material cost)란 제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원재료의 원가 중 특정 제품의 생산에 직접 소비되었는지 경제적으로 추적이 가능한 원가를 말한다. 즉, 특정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있는 재료비를 말한다. 직접재료원가에는 자동차의 생산에 사용되는 타이어의 원가, 컴퓨터의 생산에 사용되는 CPU 원가 등이 해당한다.
직접노무원가
직접노무원가(direct labor Mst)란 제품의 생산활동과 관련하여 소비된 노무원가 중 특 정제품의 생산에 직접 소비되었는지 경제적으로 추적이 가능한 원가를 말한다. 즉, 특정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있는 노무원가를 말한다. 직접노무원가에는 제품의 생산활동에 투입된 직접 공의 임금 등이 해당한다.
제조 간접원가
제조 간접원가(indirect manufacturing cost)란 제품의 생산활동과 관련하여 소비된 원가 중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제외한 모든 원가를 말한다. 즉, 특정 제품의 생산에 직접 소비되었는지 경제적으로 추적이 불가능한 원가로서 특정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없는 제조경비를 말한다. 제조 간접원가에는 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간접재료 원가, 간접 노무원가 및 기타 제조경비 등이 해당한다.
기초원가(prime cost)는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합한 금액으로 이들 원가는 제품과 직접적으로 관련성이 있어 특정 제품에 추적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초원가 또는 기본원가로 분류하기도 한다.
가공원가(processing cost)는 직접노무원가와 제조 간접원가를 합한 금액으로 이들 원가는 재료를 가공하는데 소비된 원가이며 또한 재료를 제품으로 전환하는데 소비된 원가라는 의미에서 가공원가 또는 전환원가(conversion cost)라고도 한다.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회계 [원가의 흐름, 원가의 분류] (0) | 2022.12.14 |
---|---|
원가회계 [제조원가] (0) | 2022.12.13 |
원가회계 [원가계산제도의 일반원칙] (0) | 2022.12.11 |
원가회계의 목적 (0) | 2022.12.10 |
원가회계의 기초 (0)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