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학

원가회계 [제조원가]

by ☃️겨울 2022. 12. 13.
반응형
반응형

비제조원가

비제조원가란 제품의 생산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소비된 경제적가치의 희생을 말하는 것으로 비제조원가의 대표적인 사례로서는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있다.



원가의 계산 시점에 따른 분류

 사후원가
원가는 원가계산을 하는 시점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제품 원가를 제품이 생산된 이후에 파악하는 것을 사후원가(post-cost)라 한다. 사후원가는 실제원가, 취득원가 또는 역사적원가라고도 하며 제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재화나 서비스의 실제 구입가격에 실제 소비량을 곱하여 산출한다.


사전원가
사전원가(pre~cost)란 원가계산의 신속성과 능률향상을 위하여 생산이나 판매 활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산정되는 원가로서 예정원가라고도 한다.



총원가와 단위당원가
총원가(total cost)란 일정 기간에 제품의 제조를 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소비된 원가의 총액을 말하며,평균원가(average cost)는 총원가를 총원가의 발생과 인과관계가 밀접한 조업도로 나누어 계산되는 단위원가(units cost)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의사결정시 고정원가는 총원가를 사용하며 변동원가는 평균원가를 사용한다.



자산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소멸원가(expired cost)란 자산의 용역잠재력이 소멸하여 더 이상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제공하지 못하고 소멸하는 원가를 말한다.
특정 제품을 제조하는데 소비된 원가는 일단 제품이라는 자산의 원가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동제품이 판매되면 자산의 원가는 판매되는 시점에서 매출원가로 전환되어 비 용화 되며 자산의 원가는 소멸하게 된다. 즉, 판매된 제품의 원가 또는 매출원가를 소멸원가라 한다.


미소멸원가
미소멸원가(unexpired cost)란 자산의 용역잠재력이 소멸하지 않아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제공할 수 있는 원가를 말한다.
특정 제품을 제조하는데 소비된 원가는 일단 제품이라는 자산의 원가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동제품이 판매되기 이전에는 자산의 원가로 남아 있게 된다. 즉 판매되지 않고 남아있는 제품의 원가를 미소멸원가라 한다.



기회원가

기회원가란 의사결정 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함으로써 포기된 차선의 대안이 가져다주는 효익을 말한다.



매몰원가

매몰원가란 과거의 의사결정 시 이미 발생한 원가로서 현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원가를 말한다. 즉 어떤 대안을 선택하더라도 경영자의 통제가 불가능한 원가이다. 



원가요소 계정의 회계처리
원가요소 계정이란 제조기업이 제품을 제조하는 데 소비된 경제적 가치 즉, 제조원가를 처리하는 계정을 말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재료 원가 계정, 노무원가 계정 및 경비계정이 있다.
재료원가 계정
재료원가 계정은 기업의 외부로부터 구입한 재료를 처리하는 계정으로 자산계정에 속한다. 재료원가계정의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이 재료구입시의 회계와 재료를 제조공정에 소비 또는 투입할 때의 회계로 나누어 처리할 수 있다.



재료구입시

구입한 재료중 특정 제품을 제조하는데 직접적으로 소비된 재료는 직접재료원가 계정을 사용하여 재공품계정에 집계한다.

재료소비할 때
직접재료원가의 경우
구입한 재료중 특정 제품을 제조하는 데 직접적으로 소비된 재료는 직접재료원가 계정 을 사용하여 재공품(제조)계정에 집계한다



그러나 재료 원가의 회계처리에 있어 일반적으로 재료 소비시에는 직접재료원가계 또는 간접원가 계정을 설정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재료 원가를 재료계정에서 처리하고 있다.



재료 원가 = 기초재료 재고액 + 당기 재료매입액 - 기말재료 재고액



노무원가 계정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노동력의 소비로 인하여 발생하는 원가를 노무원가라 하며 노무원가 계정이란 노무원가를 처리하는 계정을 말한다. 노무원가는 특정 제품을 생산하는 데 직접 소비되었는가의 여부에 따라 직접노무원가와 간접노무원가로 나뉜다
1) 노무원가 발생 시
기중에 노무원가가 발생하면 노무원가 계정의 차변에 기재한다. 여기서 발생액이란 노무원가를 발생주의에 따라 측정한 것으로 당기에 발생하여 실제 지급한 금액뿐만 아니라 당기에 노무원가가 발생하였으나 기말까지 지급하지 못한 미지급 노무원가까지 포함한 금액을 말한다.



노무원가의 대체

기중에 발생된 노무원가는 특정 제품 생산과의 관련성 여부에 따라 직접노무원가와 간접노무원가로 확정되면 직접노무원가는 재공품(제조)계정으로 간접노무원가는 제조 간접원가 계정으로 대체한다.



경비계정

경비계정이란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발생한 재료 원가와 노무원가 이외의 경제적 자원을 소비함으로 인하여 발생한 원가를 처리하는 계정을 말한다. 경비는 재료 원가나 노무원가와 마찬가지로 특정 제품에 직접적으로 부담시킬 수 있는지에 따라 직접경비와 간접경비로 구분된다.



제조원가의 집계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원가요소 계정에서 발생한 원가는 특정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
여 직접 부담시킬 수 있는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재공품(제조)계정에 집계하고,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제외한 간접재료 원가, 간접노무원가, 제조경비는 제 조간접원가 계정을 사용하여 원가를 집계한다.
(1) 제조 간접원가 계정
제조 간접원가 계정은 특정 제품에 직접 부담시킬 수 없는 모든 제조원가를 집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원가집합 계정으로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제외한 모든 제 조원가 즉, 간접재료 원가, 간접노무원가 및 제조경비를 집계하는 계정을 말한다. 이러한 제조 간접원가는 일정한 원가 배분 과정을 거쳐 특정 제품에 부과하게 된다.



제조 간접원가의 집계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재료의 소비액 중 간접재료 원가와 노무원가 발생액 중 간접노무원가 및 기타 제조경비의 발생액을 제조 간접원가 계정의 차변에 집계한다. 

제조 간접원가의 대체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제조 간접원가 계정의 차변에 집계된 원가는 일정한 원가배분 과정을 거쳐 재공품계정의 차변에 대체한다.

 

 

 

반응형